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 전체메뉴

보도자료

공공기관 주도 항만보안 첫 심사 개시 ... 공적 역할 강화 새글

작성자대외협력팀  조회수11 등록일2025-09-16
[붙임]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이 항만시설 보안심사를 처음 시행하는 충남 보령 신보령화력부두 전경.jpg [1,866.6 KB]
250916 (즉시) 공공기관 주도 항만보안 첫 심사 개시 ... 공적 역할 강화.hwp [8,270 KB] 미리보기

  공공기관 주도 항만보안 첫 심사 개시 ... 공적 역할 강화

 

-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16일(화) 신보령화력부두에서 민간운영 항만시설 대상 첫 현장 심사

- 공공성·전문성 기반 보안 점검 본격화 … 2027년 5월 전국으로 전면 확대 예정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이사장 김준석)이 민간이 운영하는 항만시설 보안심사 업무를 현장에서 처음 수행하며, 항만보안 공공성 강화를 위한 본격적인 실행 단계에 들어섰다고 16일(화) 밝혔다.
 
공단은 16일(화) 충남 보령시 소재 신보령화력부두에서 항만 보안심사를 실시한다.* 한국중부발전(주)이 운영하는 해당 부두는 신보령화력발전소에 연료를 공급하는 전용 부두로, 작년(’24년) 기준 선박 43척이 105회 이용했고, 발전소 운영에 필요한 석탄 약 400만 톤을 처리한 국가 에너지 수급의 핵심 시설이다.
  * 항만시설 보안심사는 모든 항만시설을 대상으로 매년 1회 실시함. 매해 순차적으로 네 번 (1~4회) 진행하는 심사를 중간 보안심사, 5년 차에 한 번 하는 심사를 갱신 보안심사라고 함. 더 많은 인력이 소요되는 5년 차 갱신 보안심사 이후 다시 1차 중간 보안심사가 시작됨. 공단이 16일(화) 신보령화력부두에서 시행하는 항만 보안심사는 4차 중간 보안심사임. 공단은 이번 첫 심사를 시작으로 항만시설의 보안심사 주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예정임.
 
이번 심사는 지난 7월 4일(금), 공단이 ‘국제항해 선박 및 항만시설의 보안에 관한 법률’에 따라 민간운영 항만시설 보안심사 대행기관으로 지정된 이후 시행된 첫 현장 심사이다. 그동안 (사)한국선급이 수행해 오던 업무를 공단이 함께 맡게 되면서, 공공기관 주도의 보안심사 체계가 현장에서 본격적으로 개시했다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심사는 항만시설의 보안체계 전반에 대한 종합적인 점검으로 이뤄졌다. 공단은 심사를 통해 △항만시설 보안계획의 이행 현황 △보안 시설·운영 기준 준수 여부 △출입통제 체계 등 핵심 보안 요소들을 면밀하게 점검했다.
 
공단은 올해 하반기 대산·군산·평택·동해 등 4개 지방해양수산청 관할 12곳 항만시설에 대한 보안심사를 순차적으로 추진하고, 내년(’26년)에 그 대상을 전국 9개 지방해양수산청 관할 약 120곳 항만시설로 확대할 예정이다. 오는 2027년 5월부터는 전국 약 190곳 민간운영 항만시설에 대한 보안심사를 전면 수행할 계획이다.
 
공단은 관련법에 따른 항만시설 보안심사관 21명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12명을 추가로 양성 중이다. 올해 기획재정부로부터 간부급 전담 인력 1명을 확보한 데 이어, 현장 이해도와 실무 경험을 갖춘 항만보안정책 전담 인력을 점차 확충할 계획이다.
 
또한 단순한 심사 대행을 넘어,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선박 및 항만 사이버 보안 강화를 위한 법‧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항만보안의 중요성을 국민에게 알리는 교육‧홍보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김준석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은 “공공기관 주도의 현장 보안심사 개시로 민간운영 항만시설 보안체계의 공공성과 전문성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공단은 국가 보안체계의 일원으로서 관계기관과 협력해 보안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안전한 항만 환경을 조성해 가겠다”고 말했다. 

 

 

<붙임>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이 항만시설 보안심사를 처음 시행하는 충남 보령 신보령화력부두 전경(출처: 한국중부발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