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언어 한국어
현재 언어 한국어
AI 선박 설계 컨설팅에서 메타버스 해양안전 교육까지 …
사내벤처에서 국민 체감 서비스 개발
-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올해 사내벤처 2개 팀 선정 … 경영․기술 자문, 사업화 비용 지원
- 김준석 공단 이사장 “사내벤처로 새로운 해양교통안전 서비스 창출에 도전”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이사장 김준석)이 올해 사내벤처 2개 팀을 최종 선정하고 본격적인 사업화 지원에 나선다고 18일(목) 밝혔다.
공단은 올해 공모전을 통해 총 4건의 제안을 접수한 뒤 심사를 거쳐 ▲메타버스* 여객선 안전 체험교육 ▲인공지능(AI) 기반 선박 설계 컨설팅 등 총 2개 팀을 선발했다.
* 현실 세계와 유사하거나 완전히 다른 디지털 세계를 구성해 사람들이 아바타를 통해 소통, 활동 등을 할 수 있는 확장된 가상공간.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 다양한 기술을 포함하며, 단순한 게임이나 시뮬레이션을 넘어 사회적‧경제적 생태계를 포함한다. 대표적으로 온라인 게임 플랫폼 ‘로블록스’가 있다.
첫 번째 팀은 메타버스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해 체험형 여객선 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선박 화재 등을 가상공간에서 체험하며 실제 상황의 위기 대응 능력을 자연스럽게 훈련하는 방식이다. 프로젝트 명칭도 ‘안전한 바다 서비스’라는 의미에서 ‘S.O.S(Safe Ocean Service)’이다.
해당 팀은 지난 5월 가상현실(VR)과 메타버스 게임 플랫폼(로블록스)을 활용한 체험형 여객선 안전교육 콘텐츠 2종을 개발해 시범 운영한 이력이 높은 평가를 얻었다. 특히 메타버스 게임 플랫폼으로 제작한 체험형 교육 콘텐츠 ‘해수호의 대모험: 여객선 비상탈출로를 찾아라’*는 최근 5개월 동안 누적 접속자 수 2만 3천여 명을 돌파했다.
* (접속 링크) 로블록스 해수호의 대모험 : 여객선 비상탈출로를 찾아라
두 번째 팀은 공단이 보유한 도면 승인 데이터를 활용해 선박 설계품질지수(SDQI, Ship Design Quality Index)를 산출하고, 이를 인공지능(AI) 분석과 결합해 중소 선박 설계업체에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개발한다.
공단은 해당 서비스가 반복되는 선박 설계 오류를 줄이고, 도면 승인 처리 기간을 단축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중소형 선박 설계업체의 품질 수준을 높이고, 업계 전반의 경쟁력 강화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공단은 선정된 사내벤처팀이 안정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경영·기술 자문과 사업화 비용을 지원한다. 탈락한 팀에도 창업 교육을 제공해 역량 강화를 돕고 재도전을 뒷받침한다는 계획이다.
김준석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은 “사내벤처는 임직원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실현 가능한 사업으로 구체화하는 첫걸음”이라며 “앞으로도 사내벤처를 통해 국민이 체감하는 새로운 해양교통안전 서비스를 창출하는 도전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붙임1>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이 ‘여객선 어때’ 누리집에서 제공 하는 가상현실(VR) 여객선 안전교육 콘텐츠 예시. 제주도에서 실제 운항하는 ‘마라도 1호’ 여객선 탑승 시 안전수칙을 가상현실로 구현했다.
<붙임2>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의 메타버스 게임 플랫폼 ‘로블록스’ 기반 체험형 여객선 안전교육 콘텐츠 ‘해수호와 함께하는 여객선 대탐험’ 홍보 포스터
<붙임3>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선박 검사원이 전자 도면을 검토하고 있는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