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가장 안전한 바닷길, 국민의 염원을 담아 이뤄내겠습니다
‘자율운항선박 및 기자재 안전성 평가 사업‘ 설명회 개최
… 자율운항 기술 상용화 기반 마련
- 7월 3일 부산서 사업설명회 개최 … 신청서류·절차·유의사항 등 전방위 안내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이사장 김준석)은 「2025년 자율운항선박 및 기자재 안전성 평가 사업」 설명회를 오는 3일, 부산 한국선원복지고용센터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자율운항 기술의 상용화 기반을 마련하고, 산업계의 원활한 사업 참여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설명회에서는 공단을 비롯한 선급법인 등 평가기관이 참여해 ▲ 평가 절차, ▲ 제출 서류, ▲ 평가 비용 지원 및 유의사항 등 사업 전반에 대해 안내하고, 평가 신청 접수도 병행할 계획이다.
자율운항 기술에 대한 관심은 국제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2032년까지 자율운항선박 국제표준(MASS Code)*을 제정할 계획이며, 이에 따라 각국은 자율운항 기술 상용화를 위해 기술 개발과 실증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노르웨이는 2021년 세계 최초로 완전 무인 전기 자율운항 화물선**을 시험 운항하기도 했다.
*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 Code : 자율운항선박의 안전운용을 위한 기술 기준
** 야라 인터내셔널사의 3200 톤급 컨테이너선
우리나라도 정부를 주도로 산·학·연이 협력하는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KASS 프로젝트)’을 통해 기술 역량을 축적하고 있다.
2020년에는 현대중공업과 SK해운이 협력해 세계 최초로 실제 운항 중인 25만 톤급 대형 상선에 자율운항시스템을 적용했고, 2022년에는 HD현대의 자회사인 아비커스(Avikus)와 SK해운이 협력해 18만 톤급 LNG선의 대양횡단 자율운항에 세계 최초로 성공한 바 있다.
한편, 평가를 희망하는 신청인은 7월부터 평가기관에 신청서와 첨부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신청 절차 등 상세한 내용은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누리집(www.komsa.or.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김준석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은 “자율운항선박의 성공은 실증을 통한 상용화 가능성과 안전 확보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이번 안전성 평가사업을 통해 자율운항선박 기술의 신뢰성을 높이고, 국내 연관 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설명> 아비커스(Avikus)사의 자율운항 솔루션 ‘하이나스(HINAS) 컨트롤’에서
항해 정보와 탐지된 물체 등을 증강현실(AR)로 나타낸 모습(출처: 아비커스(Avikus))
<설명> 아비커스(Avikus)사의 대형선박용 자율운항 솔루션 '하이나스(HINAS) 컨트롤'이
적용된 에이치라인해운 선박(출처: 에이치라인해운)